|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lin Ultrasound > Volume 8(2); 2023 > Article
간농양으로 치료받았던 환자에서 동일부위에 발생한 간내담관암 증례
69세 남자 환자는 고혈압, 폐결핵 및 담낭염으로 담낭 절제 수술력과 음주, 흡연력이 있는 환자이다. 2018년에 복부 통증,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복부초음파에서 간 S6 tip 부위에 낭성 병변을 동반한 종괴성 병변이 관찰되었고, 간농양 진단하에 치료하였다. 항생제 치료 후 간내 낭성 병변의 호전 소견 관찰되어 경구항생제로 교체 후 퇴원하였다. 퇴원 후 환자는 더 이상 병원에 내원하지 않았다. 환자는 2023년 8월 복통을 주소로 재내원하였고, 시행한 복부초음파에서 2018년 간농양 관찰되었던 S6 tip 부위에 5 cm 크기의 고에코성 소엽상 종괴와 저에코성 테두리 소견이 관찰되었다. 본 초음파 영상을 근거로 간농양보다는 간내담관암 의심하여 간생검을 진행하였고, 병리학적으로 담관암으로 확진한 증례이다.
2018년 5월 내원 당시에 C reactive protein (CRP) 수치는 21.3 mg/dL였으며 carbohydrate antigen 19-9 (CA19-9) 수치는 17.8 U/mL로 보고되었다. 2023년 8월에 시행된 CRP는 4.0 mg/dL였고 CA 19-9는 81.4 U/mL로 이전 검사들에 비해 CRP는 낮고 CA 19-9는 증가한 소견을 보였다.
Figure 1A는 2018년 처음 내원 당시의 초음파 영상으로 간의 S6 부위 내부에 저음영의 낭성 병변을 갖는 3.5 cm의 종괴가 관찰되었다. 종괴는 주변과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낭성 병변 이외 부위는 주변 간조직과 초음파 음영의 차이가 없어 간농양에 합당한 소견으로 판단하였다.
Figure 1B는 2023년 재내원 시 시행한 초음파 영상으로 2018년 낭종성 병변으로 관찰되는 동일 부위에 고음영의 주위와 경계가 명확한 약 5 cm 크기의 종괴성 병변이 관찰되었다.
본 증례는 2018년 간농양으로 진단된 병변이 사실은 담관암에 동반된 농양이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담도암은 일반적인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간농양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들이 있으며, 특히 초기의 경우에는 더욱 이러한 위험이 크다. 이러한 경우 복부초음파가 낭성 병변과 고형성 병변의 감별에 조금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간농양의 경우 시간에 따라 종괴가 작아지거나, 낭성 변화를 보이거나 하는 변화가 종종 관찰되며, 담관암의 경우 본 증례에서는 내부에 액체 고임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복부초음파에서도 농양에 가까운 소견으로 관찰될 수 있으며, 초기의 담도암에 동반된 간농양은 초음파 혹은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도 감별이 불가능할 수 있다. 뚜렷한 구별이 항상 되는 것은 아니기에 임상적으로 어렵다 하더라도 항생제 치료 후 주기적인 추적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항생제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영상학적 소견에 변화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조직검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 항생제 치료에 반응이 있었던 경우에도 암종에 동반된 농양의 호전일 수 있으므로, 역동적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병변 감소, 관찰이 어려울 정도로 호전되는지 정도의 재확인은 가능한 시행하는 것이 좋겠다.
아직까지 선행되었던 간농양이 간내 담도암의 직접적인 위험 요인임을 밝히는 근거들은 명확하지 않고, 농양이 동반되어 있어 진단 및 감별이 어려웠던 담도암 경우들의 케이스 증례의 형태들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임상에서 간농양 치료 후 증세가 좋아졌다 하더라도 초음파 혹은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를 추적하여 병변의 완전한 호전을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

Figure 1.
Ultrasonography (US) and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 in 2018 (A) and 2023 (B). (A) Ultrasound showed a intralesional hypoechoic area showing necrotic and cystic changes. Contrast enhanced CT showed a hypodense mass with prominent enhancement of the rim in the portal phase. The double target sign of liver abscess was observed. (B) Ultrasound showed a hyperechogenic mass with peripheral hypoechic rim. Contrast enhanced CT showed irregular enhancement during venous phase. This lesion inner wall was rough and irregular. Multiple patch like lesions were seen in the lesion.
cu-8-2-96f1.jpg
Editorial Office
The Korean Association of Clinical Ultrasound
#1711, Hanshin Building, 12, Mapo-daero, Mapo-gu, Seoul, South Korea 04175
TEL: +82-2-702-4001, Fax: +82-2-373-1106, E-mail: journal@kacu.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Association of Clinical Ultrasound.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