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lin Ultrasound > Volume 8(2); 2023 > Article
간내 담관 확장을 유발하는 인접한 두 간 낭종에 대한 경피적 배액 및 알코올 유지 경화술

요약

두 개의 인접한 간 낭종의 간내 담관 압박으로 발생된 담즙 정체성 간효소 수치 상승을 하나의 낭종에 대해서만 알코올 잔류 경화 요법을 통해 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치료 후 주요한 합병증은 발생되지 않았다. 따라서 두 개의 인접한 낭종 중 하나의 치료로도 효과적으로 간내 담관 압박을 호전시킬 수 있었으며, 알코올 잔류 경화 요법이 유용한 치료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Simple hepatic cysts are usually asymptomatic and found incidentally. In most cases, no treatment is required, although various management techniques with different clinical features and advantage have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nonsurgical treatments for hepatic cyst, percutaneous drainage and sclerotherapy are often applied.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a 67-year-old male with cholestatic liver enzyme abnormality. Two adjacent hepatic cysts were shown to be causing compression of the liver parenchyma and intra-hepatic bile duct.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pography revealed two large hepatic cysts and intrahepatic duct dilatation. After ultrasonography-guided percutaneous drainage of one of two larger cysts, alcohol-retention sclerotherapy was performed twice on two consecutive days. At five days after the initial therapy, the larger hepatic cyst was decreased from 10 × 8.3 cm to 4.4 × 1.7 cm and the cholestatic liver enzyme abnormality was normalized.

서 론

단순 간 낭종의 유병률은 2.5–18.0%로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없이 발견된다[1]. 대부분의 경우 크기가 증가하지 않으나, 일부 낭종에서는 크기가 증가하기도 하며 크기와 상관없이 단순 간 낭종에 대한 추적관찰 지침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다. 단순 간 낭종은 일반적으로 특별한 증상을 일으키지 않으나 간혹 낭종 내 출혈, 감염이나 크기가 매우 커지는 경우 폐쇄성 황달 등의 증상이 발생되곤 한다. 증상이 발생한 낭종에 대해서는 낭종의 위치, 양상, 증상 발현의 종류 및 정도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치료의 선택이 필요하다. 낭종에 대한 치료로 수술적 절제 혹은 비수술적 절제로 구분할 수 있다. 비수술적인 방법으로는 경피적 흡인술, 경화요법, 내부 배액술 등의 방법이 있으며, 수술적인 방법으로는 지붕제거술, 낭종절제술, 간절제술 등의 방법이 있다[2]. 본 증례는 비교적 매우 크지 않은 두 개의 낭종이 간내 담관을 압박하여 발생한 폐쇄성 황달의 치료를 위해 알코올 유지 경화 요법을 시행한 증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67세 남자가 특별한 증상 없이 시행한 혈액 검사상 간효소 수치 상승 및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검사상 이상소견이 보여 의뢰되었다. 환자는 황달을 의심할만한 외관상의 변화도 보이지 않았다. 간수치 상승을 유발할 만한 바이러스 감염이나 알코올 섭취 이력은 없었으며, 최근 독성 간염을 유발할 만한 약물의 섭취 이력 또한 없었다. CT상 양쪽 간내 담관의 확장을 동반한 2개의 조영 되지 않는 낭종이 확인되었으며 각각의 크기는 9.4 × 9.0 cm, 6.8 × 6.6 cm로 측정되었다(Fig. 1). 가장 큰 낭종의 위치는 4번 분절에 위치하였으며, 더 작은 낭종은 1번 분절에 위치하여 있었다. 인접한 2개의 낭종으로 인해 좌측의 간내담관은 0.7 cm, 우측의 간내 담관은 0.6 cm로 양측 간내담관의 원위부 폐쇄가 보였다. 간 초음파상에서도 내부에 동일 에코의 양상을 보이는 낭종이 관찰되었으며 간내 담관의 확장이 관찰되었다(Fig. 2). 초기 혈액 검사상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는 164 IU/L, 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는 161 IU/L 였으며 총 빌리루빈(total bilirubin, TB) 3.0 mg/dL,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ALP) 270 IU/L,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1,332 IU/L로 측정되었다. 환자는 담즙정체성 간효소 수치 및 혈청 빌리루빈 상승을 유발할 만한 다른 소견이 보이지 않아 인접한 두 개의 낭종에 의한 것으로 보여 경피적 배액술 및 알코올 잔류 경화요법을 시행하였다. 두 개의 낭종 중 크기가 더 큰 4번 분절의 낭종에 경피적 간내 도관을 삽입하여 560 cc의 액체를 배액 하였으며 알코올 잔류 경화 요법을 시행하였다. 알코올 잔류 경화요법으로 99% 알코올 주입 후 3분간 유지하였으며, 4회의 자세 변경 이후 알코올을 제거하였고, 추가로 99% 알코올 주입 후 3분간 유지 후에 잔류 알코올을 제거하여 시술을 종료하였다(Fig. 3). 유치해 놓은 간내 도관을 통해 추가적으로 60 cc의 액체가 배액 되었으며, 1일 이후 추가적인 알코올 잔류 경화요법을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간 내 도관을 통한 배액 및 알코올 경화요법 후에 시행한 간 초음파 상에서 4번과 8번 분절에 있던 낭종의 크기는 5.7 × 2.9 cm로 크기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동일 에코 양상의 낭종이 남아있었다(Fig. 4). 처음 경피적 배액술을 시행 후 유치해 놓은 도관으로부터 4일간 각각 60 cc, 40 cc, 15 cc, 26 cc가 배액 되었으며, 추적 초음파상에도 여전히 낭종이 남아 있어 4일 후 3번째 간내 도관을 통한 배액 및 알코올 잔류 경화 요법을 시행하였다. 3번째 배액 및 알코올 잔류 경화 요법 후 시행한 추적 초음파상에서 4.4 × 1.7 cm로 크기가 감소된 낭종이 확인되었으며, 더이상 도관을 통한 배액은 관찰되지 않았다. 추적관찰 기간 중 시행한 혈액 검사상 AST 94U/L, ALT 72 U/L였으며 TB 0.84 mg/dL, ALP 142 IU/L, GGT 429 IU/L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환자는 혈액 검사 및 간 초음파상 낭종의 크기 감소가 확인되고 간효소 수치 및 혈청 빌리루빈 수치의 감소를 보여 간내 도관 제거 후 퇴원하였다.

고 찰

단순 간 낭종은 일반적으로 무증상이며, 복부 영상검사상 우연히 발견된다. 단순 간 낭종은 40세 이하에서는 흔하지 않으며, 남자와 여자의 비율은 1:4로 나타난다. 크기는 1 cm 미만에서 30 cm까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지만, 크기가 커짐에 따라 복통, 상복부 만복감, 조기 포만감, 출혈, 감염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3]. 단순 간 낭종이 증상을 발현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치료가 필요한 증상이 있는 경우 보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정확한 증상 발현율에 대한 조사는 미비한 편이다. 본 증례는 비교적 매우 크지 않은 인접한 두 개의 단순 간 낭종에 의해 폐쇄성 황달이 발생하였다. 단순 간 낭종에 의한 폐쇄성 황달은 크기와 발생 위치에 따라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이전 연구에서 Ogawa 등[4]은 간문부에 근접한 낭종의 크기 증가에 의한 폐쇄성 황달을 보고하였으며, Mehtsun 등[5]은 거대한 낭종으로 인해 발생한 폐쇄성 황달의 경우를 보고하였으나, 크기가 비교적 크지 않은 10 cm 이하의 낭종으로 인해 발생한 폐쇄성 황달의 경우는 매우 드물다. 간 낭종의 치료를 위해 단순 흡인으로만 치료하는 경우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알코올 잔류 경화요법은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72–100%의 환자에서 증상을 호전시키고 56–100% 낭종 소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7]. 이전의 알코올 잔류 경화요법과 복강경 수술, 개복 수술을 비교한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증상 호전 측면에서 각각 3.5%와 2.1%로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재발은 각각 0%와 5.6%로 복강경 수술이 더 적었다. 주요 합병증 측면에서도 알코올 잔류 경화요법과 복강경 수술, 개복 수술에서 각각 0.8%, 1.7%, 2.4%로 알코올 잔류 경화 요법에서 합병증은 더 적게 조사되었다.

Figure 1.
Two adjacent hepatic cysts with dilated intrahepatic ducts on computed tomography.
cu-8-2-80f1.jpg
Figure 2.
Two adjacent hepatic cysts with dilated intrahepatic ducts on abdominal ultrasonography.
cu-8-2-80f2.jpg
Figure 3.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larger hepatic cyst.
cu-8-2-80f3.jpg
Figure 4.
Remnant hepatic cyst after percutaneous drainage and alcohol- retention sclerotherapy.
cu-8-2-80f4.jpg

REFERENCES

1.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E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cystic liver diseases. J Hepatol 2022;77:1083–1108.
crossref pmid
2. Tocchi A, Mazzoni G, Costa G, et al. Symptomatic nonparasitic hepatic cysts: options for and results of surgical management. Arch Surg 2002;137:154–158.
pmid
3. Marrero JA, Ahn J, Rajender Reddy K; Americal College of Gastroenterology. ACG clinical guideline: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focal liver lesions. Am J Gastroenterol 2014;109:1328–1347. quiz 1348.
crossref pmid pdf
4. Ogawa M, Kubo S, Uenishi T, et al. Nonoprerative management of obstructive jaundice caused by a benign hepatic cyst. Osaka City Med J 2004;50:95–99.
pmid
5. Mehtsun WT, Patel MS, Markmann JF, Hertl M, Vagefi PA. Obstructive jaundice caused by a giant non-parasitic hepatic cyst. Ann Hepatol 2015;14:267–269.
crossref pmid
6. Saini S, Mueller PR, Ferrucci JT Jr, Simeone JF, Wittenberg J, Butch RJ. Percutaneous aspiration of hepatic cysts does not provide definitive therapy. AJR Am J Roentgenol 1983;141:559–560.
crossref pmid
7. Wijnands TF, Görtjes AP, Gevers TJ,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aspiration sclerotherapy of simple hepatic cysts: A systematic review. AJR Am J Roentgenol 2017;208:201–207.
crossref pmid
Editorial Office
The Korean Association of Clinical Ultrasound
#1711, Hanshin Building, 12, Mapo-daero, Mapo-gu, Seoul, South Korea 04175
TEL: +82-2-702-4001, Fax: +82-2-373-1106, E-mail: journal@kacu.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Association of Clinical Ultrasound.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