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lin Ultrasound > Volume 7(1); 2022 > Article
COVID-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아급성 갑상선염 2예

요약

저자는 최근 COVID-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아급성 갑상선염 2예를 경험하였으며, 아급성 갑상선염의 진단과 경과 관찰에도 초음파 검사가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향후 COVID-19 백신 접종을 한 환자가 갑상선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면 아급성 갑상선염의 발생을 유념해야 한다.

Abstract

Subacute thyroiditis is a self-limited inflammatory disease that is mainly caused by viral infection. Since the emergence of the coronavirus disease, several effective vaccines have been introduced. Several cases have been reported developing subacute thyroiditis after receiving the coronavirus (COVID-19) vaccine. This paper presents an 81-year-old woman and a 62-year-old man who developed subacute thyroiditis soon after receiving the adenovirus-vectored COVID-19 vaccine. These patients presented with neck pain and laboratory tests showed increased free T4, low thyroid stimulating hormone, and elevate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99mTc scintigraphy showed poor visualization of the thyroid gland. Thyroid ultrasonography revealed severe hypoechoic, ill-defined areas. Thyroid function and ESR were normalized and ultrasound findings were improved after treatment. Here, the author reports two cases of subacute thyroiditis occurring after receiving the COVID-19 vaccine, and an accompanying literature review.

서 론

아급성 갑상선염은 일과성 염증성 갑상선 질환으로, 바이러스 감염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1], 드물게 독감 백신이나 B형 간염 백신 접종 후에도 발생된 것이 보고되고 있다[2-4]. Shoenfeld 증후군으로도 알려진 면역증강제(adjuvant)에 의한 자가면역/염증 증후군(autoimmune/inflammatory syndrome induced by adjuvants, ASIA 증후군)은 유전적으로 취약한 개인에서 백신에 함유된 면역증강 활성물질에 의해 숙주의 면역균형의 파괴로 발생한다고 한다[5]. 코로나-19 (COVID-19)에 대한 예방 접종이 늘어나면서 아급성 갑상선염이 발생한 경우가 보고되어 있으며[6-9], 국내에서도 1예 보고되어 있다[10]. 저자는 최근 81세 여자와 62세 남자에서 코로나-19 예방백신 접종 후 발생한 아급성 갑상선염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증례 1

환자: 81세, 여자
주소: 전경부 동통을 동반한 전신 통증
현 병력: 이전에 갑상선 질환은 없었으며, 내원 2주 전 발생한 전경부 동통과 전신 통증으로 개인의원에서 치료를 하였으나 호전이 없어 내원하였다. 환자는 2021년 5월 25일에 COVID-19 백신(AstraZeneca PLC, Cambridge, UK)을 1차 접종하였고, 6월 15일에 2차 접종을 하였다. 2차 접종 후 약 3주 후에 상기 증상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과거력 및 가족력: 특이 사항 없음
신체 검사 소견: 내원 당시 급성 병색이 있었으며, 혈압은 140/80 mmHg, 맥박수 98회/분, 체온은 36.7℃였고, 갑상선이 종대되어 있었고, 압통을 호소하였다.
검사실 소견: 내원 당시 시행한 말초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13,850/mm3, 혈색소 12.1 g/dL, 혈소판은 412,000/mm3, 적혈구 침강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는 88 mm/hr (정상 1-20 mm/hr)였고, 혈청 갑상선기능 검사에서 총 T3 120 ng/dL (정상 65-150 ng/dL), 갑상선자극호르몬 < 0.008 μIU/mL (정상 0.55-4.78 μIU/mL), free T4 2.21 ng/dL (정상 0.78-1.54 ng/dL)였다.
방사선학적 검사: 내원 당일 본원에서 시행한 갑상선 초음파 검사상 갑상선은 비대해져 있었고, 우엽에 경계가 불명확한 저에코 음영의 부위가 관찰되었다(Fig. 1A). 99mTc-갑상선스캔 검사에서 갑상선에 방사성 동위원소 섭취가 감소되어 있었다(Fig. 2).
임상 경과: 상기 소견들을 종합하여 임상적으로 아급성 갑상선염으로 진단하였고, 프레드니솔론을 첫 주에 10 mg을 1일 2회 투여하고 그 후에는 증상에 따라 용량을 조절하게 하였다. 치료 1개월 후 내원하였을 때 갑상선 부위의 압통 증상의 호전되어 약제 투여 없이 지내게 하였다. 치료 2개월 후 방문하였을 때 환자의 혈압은 108/62 mmHg, 맥박수 67회/분이었고, 검사실 소견상 말초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5,820/mm3, 혈색소 12.2 g/dL, 혈소판은 307,000/mm3, ESR 32 mm/hr였다. 혈청 갑상선기능 검사에서 총 T3 63.0 ng/dL, 갑상선자극호르몬 3.23 μIU/mL, free T4 1.10 ng/dL였다. 갑상선 초음파 검사에서 이전에 보이던 경계가 불명확한 저에코 음영의 부위가 보이지 않았다(Fig. 1B).

증례 2

환자: 62세, 남자
주소: 전경부 동통
현 병력: 환자는 2021년 6월 11일에 COVID-19 백신(AstraZeneca)을 1차 접종받았으며, 약 2주 후에 근육통과 전경부 동통, 어지럼증이 발생하였으며, 개인의원에서 대증 치료하다 전경부 동통과 갑상선기능이상이 있어 본원을 내원하였다. 환자는 COVID-19 백신 접종 이전에는 갑상선 질환을 앓은 적은 없었다고 한다.
과거력 및 가족력: 특이 사항 없음
신체 검사 소견: 내원 당시 급성 병색은 없었으며, 혈압은 114/70 mmHg, 맥박수 103회/분, 체온은 36.5℃였고, 갑상선이 커져 있었고, 압통도 있었다.
검사실 소견: 내원 당시 시행한 말초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6,840/mm3, 혈색소 12.9 g/dL, 혈소판은 376,000/mm3, ESR은 105 mm/hr (정상 1-20 mm/hr)였고, 혈청 갑상선기능 검사에서 총 T3 369 ng/dL (정상 65-150 ng/dL), 갑상선자극호르몬 < 0.008 μIU/mL (정상 0.55-4.78 μIU/mL), free T4 4.45 ng/dL (정상 0.78-1.54 ng/dL)였다.
방사선학적 검사: 내원 당시 본원에서 시행한 갑상선 초음파 검사에서 갑상선은 비대해져 있었고, 우하엽과 좌상엽에 경계가 불명확한 심한 저에코 음영의 병소가 관찰되었다(Fig. 3A). 저에코 음영을 보이는 부위에 초음파 탐촉자로 압박하였을 때 압통을 호소하였다. 99mTc-갑상선스캔 검사에서 갑상선에 방사성 동위원소 섭취가 감소되어 갑상선이 보이지 않았다(Fig. 4).
임상 경과: 임상적 소견을 종합하여 COVID-19 예방 접종 후 발생한 아급성 갑상선염으로 진단하고 프레드니솔론 1일 20 mg을 2주 투여 후, 증상 정도에 따라 용량을 조절하게 하였다. 치료 3주 후 추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말초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8,480/mm3, 혈색소 14.1 g/dL, 혈소판은 224,000/mm3였고, ESR이 15 mm/hr로 이전에 비해 정상으로 호전되었다. 혈청 갑상선기능 검사에서 총 T3 59.0 ng/dL, 갑상선자극호르몬 < 0.008 μIU/mL, free T4 1.58 ng/dL였다. 갑상선 초음파 검사에서 우하엽에는 이전에 보이던 경계가 불명확한 저에코 음영의 부위가 보이지 않았으며, 좌상엽에는 이전 검사에 비해 크기가 줄어든 경한 저에코의 경계가 불분명한 병소가 관찰되었다(Fig. 3B).

고 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인 SARS-CoV-2에 의해 발생한 전염병인 COVID-19가 대유행(pandemic)을 일으킴에 따라, mRNA, 바이러스 벡터와 단백질 아단위(protein subunit)를 이용한 여러 종류의 COVID-19 백신이 개발되어 환자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줄이는데 기여를 하고 있으며, COVID-19 백신의 부작용으로 주사 부위의 통증, 알레르기성 피부 반응, 독감 유사 증상, 두통, 피로 및 발열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아급성 갑상선염은 저절로 호전되는 염증성 갑상선 질환으로 주로 20-50대에 호발하고, 남자에 비해 여자에서 약 5배 정도의 발생 빈도를 보이며, 상기도 감염 후 발현되는 경우가 많아 바이러스 감염이 주된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1]. 권태감, 피로, 근육통 및 관절통의 전신 증상을 동반하며, 갑상선 부위에 종대, 심한 통증 및 압통이 특징적인 임상 소견이다. 일반적으로 염증 표지자가 증가하는 초기에 갑상선 중독기가 있으며, 그 후 갑상선 기능저하기와 회복기를 거쳐 대개 4-6개월 후에는 호전이 된다. 저절로 호전(self-limited)되는 질환이나, 목의 통증이 심하고 지속적일 수 있으므로 단기간의 스테로이드 요법이 필요하다[9].
COVID-19 예방백신 접종 후에 발생한 아급성 갑상선염에 대한 보고들이 최근 증가되고 있다. 아급성 갑상선염의 발생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알려진 것은 없다. 이미 발표된 보고들을 고찰해 볼 때 아급성 갑상선염은 최근 개발된 6가지의 백신 모두에서 발생하여, 백신 제조 방법에 의한 것보다는 면역증강제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10]. 반면 COVID-19에 감염된 환자에서도 아급성 갑상선염이 발생하므로 mRNA 백신 접종 후 만들어진 돌기단백질(spike protein)에 의해서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다[11].
2022년 국내에서도 mRNA COVID-19 백신(Moderna Inc., Cambridge, MA, USA) 접종 후 발생한 아급성 갑상선염 1예가 보고되었다. 본 증례들 경우에는 2예 모두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만든 COVID-19 백신(AstraZeneca)을 접종 후에 발생하였다. 저자의 경우도 아직 보고는 하지 않았으나 mRNA COVID-19 백신(Pfizer Inc., Manhattan, NY, USA)에서도 아급성 갑상선염이 발생한 예를 경험하여, 향후에도 COVID-19 예방 백신 접종을 시행하게 되면 이에 대한 관심이 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Figure 1.
Case 1: Subacute thyroiditis in an 81-year-old woman. Transverse view of thyroid ultrasound scan before (A) and during treatment (B). Ultrasound shows an enlarged thyroid gland and a severe hypoechoic area with an ill-defined margin at the right lobe (A). Ultrasound reveals normalized thyroid gland size and no hypoechoic lesion (B).
cu-7-1-32f1.jpg
Figure 2.
99mTc scintigraphy shows decreased isotope uptake in both thyroid lobes.
cu-7-1-32f2.jpg
Figure 3.
Case 2: subacute thyroiditis in a 62-year-old man. Transverse view of thyroid ultrasound before (A) and during treatment (B). Ultrasound shows an enlarged thyroid gland and a severe hypoechoic area with an ill-defined margin at the right lower portion and left upper portion of the thyroid gland (A). Ultrasound demonstrates a mild hypoechoic area and decreased lesion size compared to the previous exam (B).
cu-7-1-32f3.jpg
Figure 4.
99mTc scintigraphy shows poor visualization of the thyroid lobes.
cu-7-1-32f4.jpg

REFERENCES

1. Slatosky J, Shipton B, Wahba H. Thyroiditi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Am Fam Physician 2000;61:1047–1054.
pmid
2. Altay FA, Güz G, Altay M. Subacute thyroiditis following seasonal influenza vaccination. Hum Vaccin Immunother 2016;12:1033–1034.
crossref pmid pmc
3. Hsiao JY, Hsin SC, Hsieh MC, Hsia PJ, Shin SJ. Subacute thyroiditis following influenza vaccine (Vaxigrip) in a young female. Kaohsiung J Med Sci 2006;22:297–300.
crossref pmid
4. Toft J, Larsen S, Toft H. Subacute thyroiditis after hepatitis B vaccination. Endocr J 1998;45:135.

5. Watad A, Sharif K, Shoenfeld Y. The ASIA syndrome: basic concepts. Mediterr J Rheumatol 2017;28:64–69.
crossref pmid pmc
6. Khan F, Brassill MJ. Subacute thyroiditis post-Pfizer-BioNTech mRNA vaccination for COVID-19. Endocrinol Diabetes Metab Case Rep 2021;2021:21-0142.
crossref pmid pmc
7. Jeeyavudeen MS, Patrick AW, Gibb FW, Dover AR. COVID-19 vaccine-associated subacute thyroiditis: an unusual suspect for de Quervain’s thyroiditis. BMJ Case Rep 2021;14:e246425.
crossref pmid pmc
8. İremli BG, Şendur SN, Ünlütürk U. Three cases of subacute thyroiditis following SARS-CoV-2 vaccine: postvaccination ASIA syndrome. J Clin Endocrinol Metab 2021;106:2600–2605.
pmid
9. Oyibo SO. Subacute thyroiditis after receiving the adenovirus-vectored vaccine for coronavirus disease (COVID-19). Cureus 2021;13:e16045.
crossref pmid pmc
10. Jhon M, Lee SH, Oh TH, Kang HC. Subacute thyroiditis after receiving the mRNA COVID-19 vaccine (Moderna): the first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in Korea. J Korean Med Sci 2022;37:e39.
crossref pmid pmc pdf
11. Vojdani A, Kharrazian D. Potential antigenic cross-reactivity between SARS-CoV-2 and human tissue with a possible link to an increase in autoimmune diseases. Clin Immunol 2020;217:108480.
crossref pmid pmc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1
Crossref
2,585
View
30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The Korean Association of Clinical Ultrasound
#1711, Hanshin Building, 12, Mapo-daero, Mapo-gu, Seoul, South Korea 04175
TEL: +82-2-702-4001, Fax: +82-2-373-1106, E-mail: journal@kacu.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Association of Clinical Ultrasound.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