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Clin Ultrasound > Volume 9(2); 2024 > Article
원인 불명의 근골격계 통증과 염증 수치의 상승으로 내원한 류마티스다발근통
85세 남자가 2주 전부터 양다리의 통증이 지속되며 전신의 근육통과 무력감이 동반되어 거동이 어려워져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평소 고혈압과 당뇨로 치료 중이었고 최근 여행력은 없었다. 응급실 내원 당시 혈압 134/76 mm/Hg, 맥박 81회/분, 호흡수 20회/분, 체온 38.5℃로 측정되었다. 혈액 검사에서 white blood cell 10,900/mm3, hemoglobin 12.2 g/dL, platelet 392,000/mm3,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101 mm/ hr, C-reactive protein (CRP) 185 mg/L, creatinine 1.0 mg/dL, aspartate aminotransferase 23 U/L, alanine aminotransferase 24 U/L, glucose 241 mg/dL, alkaline phosphatase 82 U/L, calcium 8.2 mg/dL, creatine kinase 39 IU/L, thyroid stimulating hormone 2.9 uIU/mL, free T4 1.41 ng/dL이었으며, 소변 검사에서 white blood cell <1/HPF, red blood cell 1-2/HPF 소견을 보였다. 흉부와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검사에서 흉부와 복부의 감염성 병변은 보이지 않았고, 양쪽 고관절의 capsular thickening 및 enhancement, 우측 대퇴골의 대전자(greater trochanter) 주위의 부종(edema), 양쪽 엉덩이의 lateral aspect에 subcutaneous edema가 관찰되었다(Fig. 1). 뚜렷한 감염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임상적으로 감염의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아 항생제를 투여하며 본원 감염내과로 입원하였다. 혈액 배양과 소변 배양에서 자라는 균은 없었고 항생제의 투여에도 ESR, CRP 수치의 상승이 지속되었다. 환자는 지속되는 전신의 근육통으로 류마티스내과에 의뢰되었다. 신체 진찰에서 양어깨의 통증과 운동범위의 제한을 호소하고 있었다. 양어깨의 근골격계초음파를 시행하였고, bilateral biceps tenosynovitis, right subacromial subdeltoid bursitis, left glenohumeral joint synovitis 소견이 관찰되었다(Fig. 2). 어깨의 운동범위 제한을 설명할만한 rotator cuff tendon과 biceps brachii long head tendon의 파열과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추가로 시행한 혈액검사에서 rheumatoid factor 18 IU/mL (참고치: <14 IU/mL), anti-CCP Ab 음성, antinuclear antibody 양성(1:80, speckled), anti–cytoplasmic neutrophil antibodies 음성이었고 extracted nuclear antigen에 대한 항체는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문진 및 신체 진찰과 근골격계 초음파검사에서 손가락, 손목, 무릎, 발목 관절 등 다른 관절의 활막염을 의심할 만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50세 이상 환자로 양측 어깨와 고관절의 침범 소견, ESR과 CRP 수치의 상승, 감염과 기타 류마티스질환의 가능성이 낮은 점을 고려하면, 류마티스다발근통(polymyalgia rheumatica, PMR)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환자는 류마티스내과로 전과하여 전신적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작하였다. 복용 중이던 비스테로이드소염제에 predinisolone 15 mg을 추가하였고, 증상과 염증 수치의 극적인 호전을 보였다. 이후 류마티스내과 외래에서 추적 관찰하며 점진적인 스테로이드의 감량을 시도하였다. 스테로이드 용량 감량 후 양어깨와 고관절의 통증이 재발하며 염증 수치의 상승이 관찰되어,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MTX)를 추가하였고, 이후 점진적으로 스테로이드 용량을 감량하여 현재는 MTX 7.5 mg per week, methylprednisolone 1 mg, celecoxib 100 mg을 복용하며 재발 없이 안정적으로 지내고 있다.
비교적 고령의 환자에서 근골격계 통증과 함께 원인 불명의 염증 수치의 상승으로 내원하며, 일반적으로 정형외과나 감염내과를 경유해서 류마티스내과로 의뢰되는 경우가 많다. 전신적인 통증과 근육통처럼 비특이적인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지만, 자세히 문진을 해보면 다른 관절보다는 주로 어깨와 고관절 부위(shoulder and hip girdle)의 통증을 호소하며 양측성인 경우가 많다. 2012년에 발표된 PMR의 잠정적 분류기준(provisional classification criteria)에 따르면, 50세 이상, 양측 어깨 통증, CRP 그리고/또는 ESR의 상승을 필수 진단 요건으로 하면서, 45분 초과의 조조강직, 고관절 통증, rheumatoid factor 또는 anti-CCP 음성, 다른 관절 비침범, 어깨와 고관절의 초음파 소견(subdeltoid bursitis, biceps tenosynovitis, glenohumeral joint synovitis, hip synovitis, 또는 trochanteric bursitis)을 확인하여 진단에 활용하고 있다. 높은 염증 수치의 상승으로 인해 감염의 가능성을 배제할 필요가 있고, 간혹 혈청음성 류마티스관절염과 감별할 필요가 있다. 의심하지 않는 경우 진단이 지연되어서 여러 병원을 다니다가 오는 경우도 있지만, 스테로이드에 극적인 호전을 보여서 치료 효과는 좋은 편이다. 다만 스테로이드 감량 과정에서 재발하는 경우가 있어서 MTX 또는 azathioprine과 같은 면역억제제를 추가하기도 한다.
광범위(diffuse) 근골격계 통증과 염증 수치의 상승이 관찰되는 50세 이상의 환자에서는 어깨와 고관절 부위의 통증과 운동 범위의 제한이 있는지 문진 및 신체 진찰을 통해 확인해보고 감별 진단 중 PMR의 가능성을 고려해서 근골격계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유용하겠다.

ACKNOWLEDGMENTS

None.

FUND

None.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ure 1.
Computed tomography shows (A) capsular thickening and enhancement of bilateral hip joints (asterisks) and (B) edema around greater trochanter of right femur (arrow) and subcutaneous edema of lateral aspect of both buttocks (arrowheads).
cu-9-2-114f1.jpg
Figure 2.
Musculoskeletal ultrasounds of both shoulders. (A) Short-axis view and (B) long-axis view showing effusion and synovial hypertrophy around the long head of biceps tendon which indicate biceps tenosynovitis (arrows), (C) long-axis view showing effusion and synovial hypertrophy in subacromial subdeltoid bursa which indicate subacromial subdeltoid bursitis (arrowheads), and (D) long-axis view showing effusion and synovial hypertrophy in glenohumeral joint (asterisk). B, long head of biceps tendon; LT, lesser tuberosity; GT, greater tuberosity; SupraS, supraspinatus tendon; G, glenoid; HH, humerus head.
cu-9-2-114f2.jpg
Editorial Office
The Korean Association of Clinical Ultrasound
#1711, Hanshin Building, 12, Mapo-daero, Mapo-gu, Seoul, South Korea 04175
TEL: +82-2-702-4001, Fax: +82-2-373-1106, E-mail: journal@kacu.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Association of Clinical Ultrasound.                 Developed in M2PI